사업현황
2014년도 사업실적보고서
ICT 표준화 선도
ICT 시장·기술 변화에 따른 ICT 표준 제·개정
- 6개 전략분야 및 23대 중점기술을 중심으로 표준화 추진전략을 제시하는 ICT 표준화전략맵 Ver. 2015 수립
- 중점 기술별 표준화 대응기구, 추진전략(선도/협력/수용), 지재권(IPR) 동향, 표준화 추진 주체 등을 제시하여 국내외 표준화활동 가이드로 제공
- TTA 단체표준 제·개정 391건, 국가표준(KCS) 10건 제안
TTA 단체표준 제·개정 391건, 국가표준(KCS) 10건 제안 - 분야, 통신망, ICT 융합, 전파·이동·방송통신, 정보보호·SW, 계 순으로 정보제공 분야 통신망 ICT 융합 전파·이동·방송통신 정보보호·SW 계 건수 103건 69건 124건 95건 391건* * 기술보고서 42건 포함
- 통신망 : 소프트웨어정의 네트워킹, 광전송, 캐리어이더넷 등
- ICT 융합 : 가시광 무선광선, 모바일 클라우드, u-헬스 등
- 전파·이동·방송통신 : IoT, 재난통신, 5G, 무선전력전송 등
- 정보보호·SW : 모바일 보안, e-러닝, e-네비게이션 등
- 국민편익·생활밀착형 표준화 대상 선정 및 로드맵 발간(12월)
- 기 제정된 TTA 표준에 대한 유지보수 실시(943건)
- 유지 758건, 개정 69건, 폐지 112건, 잠정표준의 표준채택 4건
- TTA 표준작성 및 편집 가이드라인 제작/배포 및 표준 에디터 교육 시행
글로벌 표준 경쟁력 제고
- 사물인터넷(IoT) 서비스 식별자, 한글 문자 자판 배열 등 우리나라 주도 ITU 국제표준(권고) 32건 채택
- ITU, AWG, ASTAP 대응 준비반 운영을 통하여 국내 방송통신 기술 및 정책을 적기에 국제표준으로 반영
- 국제 표준화활동 대응 지원 강화
- 한국 ITU연구위원회 운영 및 국제회의 대응전략 수립(연구반 회의 116회)
- ITU 국가기고서 제출(ITU-R 68건, ITU-T 195건)
- 전권회의(PP-14) 지원을 통한 ITU 표준화총국장 및 ITU 이사국 7선 진출에 기여
* 국제표준화전문가 지원을 통해 한국인 최초로 ITU 표준화총국장(이재섭) 진출
- CJK IT표준협력회의(‘14.4., 부산)를 통해 한국 주도로 3국간 표준을 상호채택하기로 합의
- ICT표준화 전략포럼 선정·지원체계 재편성(32개 포럼 선정)
- 포럼 활동범위(‘국제’, ‘국내’) 및 특성(‘인큐베이팅’, ‘표준개발’, ‘확산·진흥’)을 고려하여 선정, 지원 및 평가함으로써 전주기 표준화 활동을 유도
- ICT Forum Korea 2014 개최(5월, KOEX) : 54건 기술발표, 773명 참가
-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추가 진출(‘13년: 124명 210개 의석 → ‘14년: 127명 211개 의석)을 통해 국제표준화 리더십 강화
표준 보급 확대 및 중소기업 지원 강화
- 정보통신용어사전 웹·앱 서비스와 ICT시사용어집 제공
- ICT 용어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향상과 의사소통 효율성을 증대
- 국립국어원과의 MoU 체결(3월)로 정보통신용어 품질 향상 및 보급 확대 추진
- ICT 중소·중견기업 표준화 컨설팅 72회 실시
- 멘토·멘티 시범사업을 통해 집중지원이 필요한 6개 기업에 멘토전문가 자문을 지원함으로써 국내외 표준안 5건, 특허분석의견서 12건을 도출
- ICT 표준화 사이버지원센터 구축
- 기업의 상황, 요구에 따른 지원 형태 및 내용에 적합한 컨설팅을 제공하기 위해 맞춤형 기술표준 지원 온라인 서비스 실시
- 정보력이 부족한 중소기업, 학계 등에게 최신의 표준화정보를 신속히 제공하는 창구마련
고품질의 시험인증 서비스 제공
[정보통신시험인증 부문]
정보통신 시험인증 서비스 고도화
- 시험인증수수료 192.3억원(목표 132억원 대비 46% 증가) 및 시험인증건수 2,159건(목표 1,651건 대비 31% 증가) 달성
정보통신시험인증 - 분야, 네트워크, 방송융합, 이동통신, 계 순으로 정보제공 분야 네트워크 방송융합 이동통신 계 수수료수입 39.6억원 3.5억원 149.2억원 192.3억원 시험인증건수 1,138건 303건 715건 2,159건
- 국제공인 시험인증 자격 획득(목표 6건 ⇒ 실적 10건)
- 스마트카(MirrorLink Application), 전자지불결재(GlobalPlatform), 유선인터페이스(USB), 근거리통신(NFC), 이동통신(LTE, TDD RF) 등
강조MIMO OTA(Multiple-Input-Multiple-Output OTA, 다중입출력 장치
- 스마트카(MirrorLink Application), 전자지불결재(GlobalPlatform), 유선인터페이스(USB), 근거리통신(NFC), 이동통신(LTE, TDD RF) 등
- 차세대 이동통신 시험인증 서비스 확대
- LTE 기술 및 주파수 대역 추가에 대응하는 시험 환경 구축 (LTE-USAT, 주파수 11개 밴드 및 LTE RF 장비 1대 추가)
- MIMO OTA 챔버 신규 구축으로 안테나 성능시험 능력 확대
- LTE-TDD 시장 선점을 위한 LTE-TDD 시험인증 인프라 구축
- 첨단 에너지 효율화 시험서비스 제공 강화
- 스마트플러그 기술 규격·시험규격 표준화 및 스마트플러그 시험·인증 통합 테스트 시스템 인프라 구축
- 비절전 전자기기 에너지관리 플랫폼(Autonomous-EMS) 통신표준 개발
- 정부의 이동통신 서비스 고품질화 정책 수행
- 등산로, 해안도로 등 통신품질 취약한 72개 지역 대상 3개 이동통신사업자 음성통화품질 측정
- 우수한 품질의 저렴한 자급단말기 보급을 위해 품질인증 14건 제공
-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지원을 위해 종합시험지원센터 구축계획 수립(미래부, 국민안전처)
ICT 융합·신기술 등에 대한 시험인증 서비스 다양화
- 미래부로부터 ICT 융합 품질인증기관으로 최초로 지정을 받아 업무 수행
- (주)KMW가 개발한 LED 조명, CCTV, 와이파이 기능이 복합된 ‘ICT 융복합 LED 보안등’에 대해 제1호 인증 부여(7월)
- 서울 잠실 광고문화회관에 디지털사이니지 신기술·서비스 테스트베드 “창의광장” 구축(국내 중소·스타트업 기업 12개 설치·시험중)
- 스마트미디어 관련 방통융합 신기술 시험 서비스 제공
- HTML5기반 스마트 TV플랫폼 시험인증 환경 개발 및 시험인증 서비스 제공
- 스마트 수화방송서비스 기술표준안 검증을 위한 실험실 환경에서의 예비 시험 및 지상파(KBS) 실험방송 실시(11/18 ~ 12/2)
ICT 중소기업 품질 경쟁력 강화 지원
- 국산 ICT 장비 신뢰성 강화 기반 구축
- 개발·상용화·사업화 단계의 전주기에 걸친 인증, BMT, 성능검증 등 시험평가 서비스 제공을 통해 국산장비의 시장진출 확대 지원
- 중소기업 제품 시장진출 촉진을 위한 오픈랩 지원 서비스 18건 및 ICT 장비 시험평가·인증 서비스 96건 제공
- 차세대 근거리 무선통신 분야 중소·벤처기업 기술개발 지원
- 8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총 194회의 테스트베드 기술지원 서비스 제공 및 이를 통해 총 26개 제품 시장 출시
- 총 206건의 시험인증 상담 처리 및 애로기술 전문가 12회 지원)
- CCTV 품질 인증제도 도입 추진
- CCTV 표준기술에 기반한 인증제도의 도입과 활성화를 위해 정부, 제조사, 연구기관, 학계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 구성·운영
- CCTV 구성기기의 기능, 성능, 품질 검증을 위한 시험규격 개발(3건)
- 시험환경 구축 및 도로공사·호남고속철도에 대한 시험서비스 제공(17건)
[소프트웨어시험인증 부문]
소프트웨어 시험인증 서비스 고도화
- 시험인증수수료 65.2억원(목표 55억원 대비 19% 증가) 및 시험인증건수 1,943건(목표 1,279건 대비 52% 증가) 달성
소프트웨어시험인증 - 분야, SW시험인증, SW시험평가, 정보보호평가, 계 순으로 정보제공 분야 SW시험인증 SW시험평가 정보보호평가 계 수수료수입 30.7억원 15.2억원 19.3억원 65.2억원 시험인증건수 763건 1,116건 64건 1,943건
- GS인증 수요 증가로 목표(250건) 대비 실적(342건) 137% 초과 달성
- 벤치마크테스트(BMT) 제도화 방안 마련
-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BMT 의무화 법안 검토중(’15년 상반기 입법 예정)
- 정보보호 제품 CC 평가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강화
- 전자여권, 전자주민증 등 스마트카드에 대한 CC(Common Criteria) 고등급(EAL5) 평가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(3건)
- 대구 소프트웨어시험센터 개소
- 대구 등 지방소재 중소 SW개발업체의 SW 시험·인증 편의성 제고 및 품질 향상 지원(56건)
- 시험실 및 서버실을 구축하고 UNIX서버, NT서버, 스토리지 등 다양한 벤더별 시험장비 20여종 확보
ICT 융합·신기술 등에 대한 시험인증 서비스 다양화
- 신규분야 융합 SW시험인증 기술 개발 추진
- 항공우주분야 시험인증 역량확보를 위한 SBAS 인증 기술 연구
강조SBAS :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, 차세대 위성항법보정시스템
- 스마트기기의 사용 확대로 인해 증가하는 스마트 앱세서리(Appcessory)를 검증하기 위한 HW 및 SW 시험·인증 기술 개발
강조앱세서리 : 앱(App)과 액세서리(Accessory)의 합성어로, 스마트기기에 연결되는 주변장치와 앱 기반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제품
- 항공우주분야 시험인증 역량확보를 위한 SBAS 인증 기술 연구
- 정보화사업(SI사업) 품질 시험 서비스 강화
- 시도새올정보시스템(한국지역정보개발원), 항공 온실가스 산출 시스템 등 공공정보화 시스템 품질시험 수행(3건)
- 개발 단계별 테스트 산출물 검증 및 개발된 시스템에 대한 품질시험 서비스 제공
- 정보보호관리체계(ISMS) 인증심사 서비스 추진
- ‘15년 2월 6일 미래부로부터 ISMS 인증기관 지정(‘14년 12월 신청)
- ISMS 인증심사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인증품질 제고 및 국가 정보보호 수준 향상에 기여 예정
ICT 중소기업 품질 경쟁력 강화 지원
- 한국형 테스트 성숙도 모델 기초연구
- SW개발업체의 성숙도 진단항목/영역/방법 및 개선방안을 포함하는 테스트 성숙도 모델 조사·분석
- 소프트웨어 테스트 관련 국제 표준 연구 및 국내 현황 조사·분석
- 수출용 SW 국제화·현지화 시험 및 컨설팅 서비스 확대
- 중국 수출용 SW에 대한 현지화 시험 및 컨설팅 서비스 신규 제공
- 일본·중국 수출용 SW 국제화·현지화 가이드 개발 및 보급
- 수출용 SW 국제화·현지화 테스트베드 확대 구축(12종)
ICT 기술 진흥
ICT 분야 신기술 보급 및 맞춤형 교육 강화
- 해외 ICT 표준화 동향 정보 발간
- 해외 표준정책 동향 및 표준기술 이슈를 매주/매월 보급
- 표준화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심층보고서 작성·보급(분기)
- ICT 표준화 교육 확대
- ICT 표준기술 교육세미나 15회 실시 및 ICT 표준화 대학 특강 6회 실시
- ICT 국제표준화 전문가 양성교육 4회 실시 및 표준과 지식재산권 세미나 2회 실시
- SW 전문가 교육 확대
- 산업체 종사자,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SW 테스트 전문 인력 양성 교육 실시(518명 교육수료)
- CSTS 자격증 제도 운영을 통해 SW 테스터 양성(244명 자격증 취득)
- 정보보호제품 평가 및 인증교육 실시(42명 수료)
- CC 평가 제출물 작성 교육 실시(12명 수료)
ICT 진흥 및 홍보를 위한 시상제도 운영
- TTA 시험인증 대상 및 대한민국 SW품질대상 개최로 제품 및 업체에 대한 실질적인 마케팅 및 홍보 지원
지속가능 조직발전 기반 구축
조직역량 강화
- 우수인재 확보 및 인력 양성
- 정기·수시채용 구분 운영 및 채용박람회 참가, 캠퍼스리쿠르팅 등 채용홍보 다각화 수행
- 직원 기본소양 함양 교육인 서현 아카데미 개최(8회) 및 차세대 리더십 교육, 보직자 리더십 교육 등 계층별 맞춤형 교육 실시
- 정보보안 및 안정적 정보화 환경 조성
- 미래부 주관 홈페이지 취약점 점검 실시에서 보안평가지수 우수단계 ‘안전’ 획득(2월, 11월)
행복한 조직문화 조성
- 창의·열정과 행복한 조직문화 인프라 구축
- 상시 창의 제안제도 구축·운영으로 76건의 창의 아이디어 도출
- ‘행복 커뮤니티’ 개최(6회)를 통해 우수직원 시상 및 사례 발표
강조행복커뮤니티 : 정기적 개최를 통해 임직원간의 다양한 정보공유, 고객감동 및 직원 칭찬사례 발표 등 직장 행복문화 제고를 위한 활동
2014년도 재무재표
재무상태
[단위 : 천원]
자산 | 자본+부채 | ||
---|---|---|---|
유 동 자 산 | 19,039,546 | 유 동 부 채 | 6,440,791 |
유 형 자 산 | 40,964,301 | 비 유 동 부 채 | 1,392,055 |
기 타 비 유 동 자 산 | 2,059,539 | 자 본 | 47,885,951 |
이 익 잉 여 금 | 6,344,589 | ||
합 계 | 62,063,386 | 합 계 | 62,063,386 |
손익계산서
[단위 : 천원]
Ⅰ. 사업수익 | 80,256,974 |
---|---|
Ⅱ. 사업비용 | 64,376,391 |
Ⅲ. 일반관리비 | 10,193,909 |
Ⅳ. 사업이익(손실) | 5,686,674 |
Ⅴ. 사업외수익 | 396,348 |
Ⅵ. 사업외비용 | 4,794 |
Ⅶ. 경상이익(손실) | - |
Ⅷ. 특별이익 | - |
Ⅸ. 특별손실 | - |
Ⅹ. 법인세차감전순이익(손실) | 6,078,228 |
XI. 법인세등 | - |
XII. 당기순이익(손실) | 6,078,228 |